본문 바로가기

일상

렌틸콩 밥하기

렌틸콩

 

얼마전에 약재를 구매하고 받은 렌틸콩(lentil bean) 입니다

먹는방법 : 삶아서 샐러드나 스프로 먹고 또는 밥할때 넣어 먹으라고 하네요

 

 

콩의 영양밀도 검은콩 61 랜틸콩 76로 랜틸콩이 훨씨 높습니다.

또한 미국 건강전문지에 세계5대 슈퍼푸드에 선정된 제품이고요, 세계 10대 항암식품에

선정된 식품이랍니다.

변비 및 빈혈, 심혈관계, 소화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입니다.

그러나 신장이 않좋으신분은 복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하셔야 합니다.

 

 

그럼 렌틸콩 한번 볼까요?

 

우리나라 콩이 아니라 그런가요?

생긴건 플라스틱 조각처럼 생겼어요 만져보면 단단하고 납작합니다.

달리 조리할 방법이 생각나진 않네요

 

 

 

 

 

어떻게 먹을까 잠시 고민했지만

집에서 샐러드를 잘 안먹기 때문에 밥할때 넣어 봤습니다.

생것과 차이가 나지 않나요?

 

실제로 밥에 넣으면 별다를 맛이 나진 않습니다.

약간의 콩맛이 난다고 해야 할까?

싹이 튼것처럼 벌어져 있는것이 보일거에요

 

압력밥솥에 했더니 잘 익었네요

 

영양성분도 좋고 요즘 핫한 건강식 인거 같아요

 

콩 싫어하시는 분도 거부감 없이 드실 수 있어요

저도 큰콩은 잘 못먹는데 잘 먹게 되네요

다음 곡물살때 사서 밥할때 넣어 먹어야겠어요

 

 

 

 

 

[네이버 지식백과]

렌틸콩에는 일반적으로 질량의 25% 내외의 훌륭한 단백질 성분이 들어 있다. 따라서 렌틸콩은 채식주의자가 많은 인도에서 주요 단백질 급원식품으로 소비된다. 곡류와 콩류는 영양학적으로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를 서로 보완해주는 효과가 있다. 콩에는 필수아미노산 중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등 함황 아미노산이 부족한 반면 쌀에는 라이신과 성장기 어린이에게 필요한 아르기닌이 부족하다. 콩과 쌀을 함께 섭취하면 서로에게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완해 줄 수 있어 채식을 많이 하는 인도인에게 콩류의 섭취는 육류를 대신 하기에 충분하다.

 

이와 유사한 예로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옥수수와 콩류를,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쌀과 대두류를 같이 섭취해 서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완해 주는 식생활이 발달되어 있다. 렌틸콩은 지방 함량이 낮고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B의 일종인 티아민(thiamin, 비타민 B1)과 엽산(folic acid)이 풍부하며 주로 동물성 식품에 들어 있는 철분과 아연도 함유하고 있어 영양소의 보고라 할 만하다. 또한 렌틸콩의 껍질에는 섬유질이 풍부해서 껍질째 먹어도 좋다. 반면 껍질을 벗기면 섬유질이 줄어 들지만 조리나 섭취가 쉽고 소화도 잘 된다.